콘텐츠로 이동

2.6.7 인터넷 접속 통제

인증 기준

인터넷을 통한 정보 유출, 악성코드 감염, 내부망 침투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요 정보시스템, 주요 직무 수행 및 개인정보 취급 단말기 등에 대한 인터넷 접속 또는 서비스(P2P, 웹하드, 메신저 등)를 제한하는 등 인터넷 접속 통제 정책을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
주요 확인사항

  • 주요 직무 수행 및 개인정보 취급 단말기 등 업무용 PC의 인터넷 접속에 대한 통제정책을 수립·이행하고 있는가?

  • 주요 정보시스템(데이터베이스 서버 등)에서 불필요한 외부 인터넷 접속을 통제하고 있는가?

  • 관련 법령에 따라 인터넷 망분리 의무가 부과된 경우 망분리 대상자를 식별하여 안전한 방식으로 망분리를 적용하고 있는가?

관련 법규

세부 설명

  • 인터넷을 통한 정보유출, 악성코드 감염, 내부망 침투 등의 위험을 적절한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주요 직무 수행 및 개인정보 취급 단말기 등 업무용 PC의 인터넷 접속에 대한 통제정책을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
    • 인터넷 연결 시 네트워크 구성 정책

    • 외부 이메일 사용, 인터넷 사이트 접속,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및 전송 등 사용자 접속정책

    • 유해사이트(성인, 오락 등) 접속 차단 정책

    • 정보 유출 가능 사이트(웹하드, P2P, 원격접속 등) 접속 차단 정책

    • 망분리 관련 정책(망분리 적용 여부, 망분리 대상자, 망분리 방식, 망간 자료전송 절차 등)

    • 인터넷 접속내역 검토(모니터링) 정책 등

  • 주요 정보시스템(데이터베이스 서버 등)에서 불필요한 외부 인터넷 접속을 통제하여야 한다.

    • 악성코드 유입, 정보 유출, 역방향 접속 등이 차단되도록 내부 서버(데이터베이스 서버, 파일서버 등)에서 외부 인터넷 접속 제한

    •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위험분석을 통하여 보호대책을 마련하고 책임자의 승인 후 허용

  • 관련 법령에 따라 인터넷 망분리 의무가 부과된 경우 망분리 대상자를 식별하여 안전한 방식으로 망분리를 적용하여야 한다.

    • 망분리 의무 대상자 및 망분리 적용이 필요한 개인정보취급자

      • 전년도 말 직전 3개월간 개인정보가 저장·관리하고 있는 이용자 수가 일일평균 100만 명 이상 또는 정보통신서비스부문 전년도 매출액이 100억 원 이상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

      •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서 개인정보를 다운로드, 파기,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

    •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안전한 방식으로 망분리 적용

      • 망분리 의무대상 여부 검토 및 의무 대상인 경우 망분리 대상자 식별

      • 망분리 의무대상이 아닌 경우 위험분석 결과 등에 따라 망분리 여부 결정

      • 물리적(네트워크가 분리된 2대의 PC) 또는 논리적(VDI 등 가상화 기술 활용) 망분리 적용

      • 망분리 우회 경로 파악 및 차단 조치

      • 망간 자료전송을 위한 통제 방안 마련

      • 망분리 환경의 적정성 및 취약점 존재 여부에 대한 정기 점검 수행 등

증거자료

예시

  • 비업무사이트(P2P 등) 차단정책(비업무사이트 차단시스템 관리화면 등)

  • 인터넷 접속내역 모니터링 이력

  • 망분리 대상자 목록

  • 망간 자료 전송 절차 및 처리내역(신청·승인내역 등)

  • 네트워크 구성도

결함사례

  • 사례 1 : 🔗개인정보 보호법상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특례조항 등 관련 법규에 따라 망분리를 적용하였으나,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접근권한 설정 가능자 등 일부 의무대상자에 대하여 망분리 적용이 누락된 경우

  • 사례 2 : 망분리 의무대상으로서 망분리를 적용하였으나, 다른 서버를 경유한 우회접속이 가능하여 망분리가 적용되지 않은 환경에서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접속 및 개인정보의 다운로드, 파기 등이 가능한 경우

  • 사례 3 : DMZ 및 내부망에 위치한 일부 서버에서 불필요하게 인터넷으로의 직접 접속이 가능한 경우

  • 사례 4 : 인터넷 PC와 내부 업무용 PC를 망분리하고 망간 자료전송시스템을 구축·운영하고 있으나, 자료 전송에 대한 승인 절차가 부재하고 자료 전송 내역에 대한 주기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

  • 사례 5 : 내부 규정에는 개인정보취급자가 P2P 및 웹하드 사이트 접속 시 책임자 승인을 거쳐 특정 기간 동안만 허용하도록 되어 있으나, 승인절차를 거치지 않고 예외 접속이 허용된 사례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