콘텐츠로 이동

1.3.3 운영현황 관리

인증 기준

조직이 수립한 관리체계에 따라 상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운영활동 및 수행 내역은 식별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기록하여 관리하고, 경영진은 주기적으로 운영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여 관리하여야 한다.

주요 확인사항

  • 관리체계 운영을 위하여 주기적 또는 상시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문서화하여 관리하고 있는가?

  • 경영진은 주기적으로 관리체계 운영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이를 관리하고 있는가?

관련 법규

세부 설명

  • 관리체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일·주·월·분기·반기·년 단위의 주기적 또는 상시적인 활동이 요구되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식별하고, 그 운영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행 주기 및 시점, 수행 주체(담당부서, 담당자) 등을 정의한 문서(운영현황표)를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한다.

    ※ 주기적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(예시)

    • 주요직무자, 개인정보취급자의 접속기록 검토
    • 주요직무자의 접근권한 검토
    • 정기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최
    •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
    • 사무실 보안점검
    •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정책·지침 개정 검토
    • 법적 준거성 검토
    • 침해 대응 모의훈련, IT 재해 복구 모의훈련
    • 내부감사 등
  • 경영진은 주기적으로 관리체계 운영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고, 문제점이 발견된 경우 이를 개선하는 등 관리하여야 한다.

    • 관리체계 운영활동이 운영현황표에 따라 주기적·상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경영진에게 보고

    • 경영진은 관리체계 운영활동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필요시 개선 조치(수행주체 변경, 수행 주기 조정, 운영활동의 추가·변경·삭제 등)

증거자료

예시

  •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연간계획서

  •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운영현황표

  •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활동 수행 여부 점검 결과

결함사례

  • 사례 1 :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운영현황 중 주기적 또는 상시적인 활동이 요구되는 활동 현황을 문서화하지 않은 경우

  • 사례 2 :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운영현황에 대한 문서화는 이루어졌으나, 해당 운영현황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월별 및 분기별 활동이 요구되는 일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누락되었고 일부는 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