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개요¶
개요¶
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은 크게 ʻ1.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ʼ, ʻ2. 보호대책 요구사항ʼ, ʻ3.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ʼ 3개 영역에서 총 102개의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.
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을 받고자 하는 신청기관은 ʻ1.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ʼ, ʻ2. 보호대책 요구사항ʼ 2개 영역에서 80개의 인증기준을 적용받게 되며,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-P) 인증을 받고자 하는 신청기관은 ʻ3.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ʼ을 포함하여 102개의 인증기준을 적용받게 된다.
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구성¶
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¶
ʻ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ʼ 영역은 관리체계 기반 마련, 위험 관리, 관리체계 운영,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의 4개 분야 16개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.
이러한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운영하는 동안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.
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인증기준¶
-
1.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(16개)
-
1.1 관리체계 기반 마련
-
1.2 위험 관리
-
1.3 관리체계 운영
-
1.4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
-
보호대책 요구사항¶
ʻ보호대책 요구사항ʼ 영역은 12개 분야 64개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.
보호대책 요구사항에 따라 신청기관은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과정에서 수행한 위험평가 결과와 조직의 서비스 및 정보시스템 특성 등을 반영하여 체계적으로 보호대책을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.
보호대책 요구사항 인증기준¶
-
2. 보호대책 요구사항(64개)
-
2.1 정책, 조직, 자산 관리
-
2.2 인적 보안
-
2.3 외부자 보안
-
2.4 물리 보안
-
2.5 인증 및 권한관리
-
2.6 접근통제
-
2.7 암호화 적용
-
2.8 정보시스템 도입 및 개발 보안
-
2.9 시스템 및 서비스 운영관리
-
2.10 시스템 및 서비스 보안관리
-
2.11 사고 예방 및 대응
-
2.12 재해 복구
-
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¶
ʻ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ʼ 영역은 개인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 시 보호조치,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시 보호조치, 개인정보 제공 시 보호조치, 개인정보 파기 시 보호조치와 정보주체 권리보호를 포함하여 5개 분야 22개의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.
이 영역은 대부분 법적 요구사항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개인정보흐름분석을 바탕으로 조직이 적용받는 법규 및 세부 조항을 명확히 파악하여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.
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 인증기준¶
-
3.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(22개)
-
3.1 개인정보 수집 시 보호조치
-
3.2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시 보호조치
-
3.3 개인정보 제공 시 보호조치
-
3.4 개인정보 파기 시 보호조치
-
3.5 정보주체 권리보호
-